[python] Unit 03 연산과 변수

2020. 6. 6. 16:04Python

1. 파이썬의 연산

 


연산 기호

예시

결과

+

더하기

7+4

11

-

빼기

7-4

3

*

곱하기

7*4

28

/

나누기

7/4

1.75

**

제곱(같은 수를 여러 번 곱함)

2**3

8(2*2*2)

//

정수로 나누었을 때의 몫

7//4

1(나눗셈의 몫)

%

정수로 나우었을 때의 나머지

7%4

3(나눗셈의 나머지)

()

다른 계산보다 괄호 안을 먼저 계산

2*(3+4)

14

💡 파이썬에서는 중괄호({})나 대괄호([])를 사용하지 않아 대신에 모두 소괄호 (())를 사용한다

 

 

 

2. 파이썬의 변수


  변수는 글자 그대로 '변할 수 있는 수'라는 뜻이다. 숫자를 저장하거나 여러 가지 연산 결과를 보관할 때 사용한다. 변수는 변할 수 있는 수이므로 필요에 따라 몇 번이라도 저장된 값을 바꿀 수 있다. 내용을 몇 번이고 썼다 지웠다 할 수 있는 메모지를 떠올리면 좀 더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보통 프로그램 하나는 여러 개의 변수를 사용한다. 따라서 여러 개의 변수를 구분하려면 변수마다 이름을 따로 붙여야 한다.

  변수에 저장되는 정보에는 '숫자' 뿐만 아니라 '문자열'도 저장가능하다. 즉, 변수는 '변할 수 있는 수'라기보다 '정보를 보관하는 저장 공간'으로 이해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

d = 2
d = d+1
d
# d = d+1은 '변수 d의 값을 1씩 증가시켜 주세요'라는 뜻으로 사용할 수 있다.

 

🎈 잠깐! 대화형 셸에 명령어를 입력하다 에러가 나면?

1. 잘못 입력해서 에러가 난 줄의 맨 앞부분에 커서를 둡니다.

2. Enter를 한 번 누르면 현재 >>> 뒤에 잘못 입력한 줄이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3. 자동으로 입력된 줄에서 잘못된 부분을 고치고 Enter를 누릅니다.

4. 수정된 줄에 대한 실행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모두의 파이이썬X알고리즘 참고 🙏🏻